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87

CBO전략 CBO(Channel BreakOut) 시스템은 가격이 추세를 형성하는 기간보다는 횡보를 보이는 기간이 더 많다는 점에 기초를 둔 시템입니다. 현재가가 일정기간 동안의 최고가를 한틱 또는 두틱 이상 상향돌파할때 매수하고 최저가를 하향이탈할때 매도합니다. input : Period(14); var : HighVal(0), LowVal(0); HighVal = highest(H,Period)[1]; LowVal = lowest(L,Period)[1]; if CrossUp(C, HighVal) then buy(); if CrossDown(C,LowVal) then sell(); 2014. 5. 4.
CTOD 전략 CTOD(critical time of day) 전략은 장시작후 2시간 동안의 5분 종가를 기초로 하룻동안의 가격움직임을 추적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특정시간 동안의 고가와 저가의 돌파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30MBO전략과 유사하지만 30MBO는 30분 동안의 고가중 최고가와 저가중 최저가를 이용하는 반면 CTOB는 종가중 최고가와 종가중 최저가를 이용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매수 : 11시 까지의 5분봉 종가 중 최고가를 상향돌파할때 매도 : 11시 까지의 5분봉 종가 중 최저가를 하향이탈할때 청산 : 14시 40분 봉 var : highVal(0), lowVal(0); if stime == 110000 then { highVal = highest(C,dayindex()+1); lowVal = low.. 2014. 5. 4.
stochastics POP 전략 stochastics POP전략은 스토캐스틱 지표가 과열권에 진입하면 상승추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침체권에 진입하면 하락추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과열권에 진입할때 매수진입, 침체권에 진입할때 매도진입을 하는 매매 방법입니다. 매수 : slowK선이 과열권인 80을 상향돌파할때 매수청산 : slowK가 과열권을 하향이탈하거나 스토캐스틱 데드크로스가 발생할때 매도 : slowK선이 침체권인 20을 하향이탈할때 매도청산 : slowK가 침체권을 상향돌파하거나 스토캐스틱 골든크로스가 발생할때 input : P1(12), P2(5), P3(5), UpLine(80), DnLine(20); var : slowK(0), slowD(0); slowK = stochasticsK(P1,P2); s.. 2014. 5. 4.
stochastics 이중천정 stochastics slow%K지표가 과열권에서 고점을 두번 형성을 만드는 것을 표현, 조건을 만족하면 1, 만족하지 않으면 0값을 리턴. input : p1(12), p2(5), left(3), right(2), Period(50); var : stoK(0), HighVal1(0), HighVal2(0), Highidx1(0), Highidx2(0); stoK = stochasticsK(p1,p2); HighVal1 = SwingHigh(1,stoK,left,right,Period); HighVal2 = SwingHigh(2,stoK,left,right,Period); Highidx1 = SwingHighbar(1,stoK,left,right,Period); Highidx2 = SwingHighbar.. 2014. 5. 4.
stochastics 이중바닥 스토캐스틱 슬로우 K선의 이중바닥을 표현, 조건을 만족하면 1, 만족하지 않으면 0값을 리턴. input : p1(12), p2(5), left(3), right(2), Period(50); var : stoK(0), LowVal1(0), LowVal2(0), Lowidx1(0), Lowidx2(0); stoK = stochasticsK(p1,p2); LowVal1 = SwingLow(1,stoK,left,right,Period); LowVal2 = SwingLow(2,stoK,left,right,Period); Lowidx1 = SwingLowbar(1,stoK,left,right,Period); Lowidx2 = SwingLowbar(2,stoK,left,right,Period); if LowVal1 2014. 5. 4.
전고점 전저점 지표 그리기 2014. 5. 4.
MACD 하락 다이버전스 MACD 하락 다이버전스 가장 최근의 MACD 최저값과 그 이전의 최저값 비교후 현재시점에서 MACD가 직전 MACD 보다 작으며 고가는 상승일때 조건이 만족하는 봉의 저가에 점으로 표시 input: shortperiod(12), longperiod(26); if NthLowest(1, MACD(shortPeriod, longPeriod), 100) Highest(H, 20)[2]) then //조건4 : 고가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주가는 상승 중 plot1(L-(PriceScale*3)); 2014. 5. 4.
MACD 상승 다이버전스 가장 최근의 MACD 최고값과 그 이전의 최고값을 비교 하여 현재시점에서 MACD가 직전 MACD 보다 크면서 저가는 하락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의 봉의 고가에 점으로 표시 input: shortperiod(12), longperiod(26); if NthHighest(1, MACD(shortPeriod, longPeriod), 100) > //조건1 : 100봉 동안 MACD의 최고값 NthHighest(2, MACD(shortPeriod, longPeriod), 100) and //조건2 : 100봉 동안 두번째로 큰 MACD값 MACD(shortPeriod, longPeriod) > MACD(shortPeriod, longPeriod)[1] and //조건3 : 현재 MACD는 상승 중 (L 2014. 5. 4.
갭보정 이동평균선 분봉차트에서 일간갭을 보정한 이동평균선. 갭을 보정한 지표이기 때문에 봉차트와 Y축을 공유해서 사용할 수는 없으며, 단순히 봉차트 하단에 나타나는 보조지표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차트 속성창에서 분틱봉의 일간갭을 보정하는 방법과 아래처럼 식으로 갭을 보정하는 방법의 차이 *** 차트속성창에서 분틱봉의 일간갭 보정을 하게 되면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고정한후 과거의 날짜를 움직여 보정해 주는 반면 아래 식은 과거의 값을 기준으로해서 새로운 데이타가 들어올때마다 그 값을 보정해 주는 방법입니다. input : Period1(5), Period2(20), Period3(60); var : sumGap(0), gap(0), GO(0), GH(0), GL(0), GC(0); var : Gma1(0), Gma2.. 2014. 5. 4.
갭보정 Macd 갭보정 macd 지표식 input : sp(12), lp(26), period(9); var : sumGap(0), gap(0), GO(0), GH(0), GL(0), GC(0); var : MacdVal(0), MacdSig(0); if date!=date[1] then { // 날짜가 변경되는 봉에서(분봉에서 첫번째 봉) gap = Open-Close[1]; // 일간갭 sumGap = sumGap+gap; // 일간갭 누적 } GO = O - sumGap;// 갭보정 시가 GH = H - sumGap;// 갭보정 고가 GL = L - sumGap;// 갭보정 저가 GC = C - sumGap; // 갭보정 종가 MacdVal = ema(GC,sP)-ema(GC,lP); //macd 지표 MacdSi.. 2014. 5. 4.
갭보정 stochstics 분봉차트에서 일간갭을 보정하여 작성한 stochastics 지표 input : Period(12), Period1(5), Period2(5); var : sumGap(0), gap(0), GO(0), GH(0), GL(0), GC(0); var : stoLval(0), stoHval(0), fstK(0), stoK(0), stoD(0); if date!=date[1] then { // 날짜가 변경되는 봉에서(분봉에서 첫번째 봉) gap = Open-Close[1]; // 일간갭 sumGap = sumGap+gap; // 일간갭 누적 } GO = O - sumGap;// 갭보정 시가 GH = H - sumGap;// 갭보정 고가 GL = L - sumGap;// 갭보정 저가 GC = C - sumGap; .. 2014. 5. 4.
역 이동평균 2014. 5. 4.
누적 이동평균 이동평균선을 해당 기간 동안 누적한 다음 결과를 해당 기간으로 나눠준 지표 Input : Period(5); Var : 이평선(0); 이평선 = ma(C, Period); Plot1(accumN(이평선,Period)/Period,"누적 이동평균"); 2014. 5. 4.
적합이동평균 이평의 속도는 변동성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 시장이 보합일 때 이평은 천천히 움직이며 시장이 추세를 가질 때 빠르게 움직인다. 이 움직임으로 횡보장에서의 Whipsaw와 추세 생성시의 Time Lag을 줄인다. Efficiency Ratio(변동성과 가격의 방향을 비교한 효율성 비율)이 높으면 변동성보다는 방향성이 높고(빠른 평균사용), ER이 낮으면 방향성보다는 변동성이 높습니다.(느린 평균 선호). 따라서 ER은 현재 시세에 가장 적절한 속도로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2014. 5. 4.
산술, 조화, 기하 이평 산술, 기하, 조화 이동평균선 나타내기 input : len(480); var : ii(0); #산술이평 var1 = ma(C,len); #기하이평 : 기하 이동평균은 Period 기간 동안의 종가를 누적한 값에 대해서 (1/Period)승 한 값을 나타냅니다. var2 = 0; for ii = 0 to len-1 begin var2 = var2 + log(c[ii]); end; var2 = 2.71828182845904^(var2/len); #조화이평 var3 = 1/(accumN(1/c, len)/len); plot1(var1); plot2(var2); plot3(var3); 2014. 5. 4.
이평 상승하락시 색상 표시 이동평균이 상승하면 빨강색, 하락하면 파란색으로 표시 2014. 5. 4.
이동평균선들 간의 이격도 5-20 이동평균선간의 이격을 나타내는 지표 2014. 5. 4.
베이시스(basis) 지표식 선물과 현물과의 베이시스를 나타내는 지표. 기본차트는 연결선물지수, 참조종목(data2)으로 Kospi200 이 차트에 적용되어야 한다. 2014. 5. 4.